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python3
- Python
- 파이토치
- 기사 실기
- 자격증
- coding
- keyboards
- 우분투
- Anaconda
- DEEPLEARNING
- 정보처리기사 실기
- 2020정보처리기사
- pytorch
- ubuntu
- 실기
- 파이썬
- 코딩
- Apple
- 기사시험
- Logitech
- 정보처리기사
- 딥러닝
- 로지텍
- torch
- NCS
- 정보처리
- 큐넷
- 실기시험
- 국가자격증
- qnet
Archives
- Today
- Total
dhwiii's notepad | 딥 러닝, 코덱 일기장
(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) 1-02. 요구사항 확인 본문
1. 요구사항 정의
- 요구공학이란 ?
- 시스템의 개발, 변경의 목적을 식별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이해 및 조정한 후
체계적으로 수집, 분석, 명세화, 확인하는 공정 또는 이에 관한 학문
- 프로젝트의 과제 범위 산정, 프로젝트 종료 시 감사 수행에 있어서 감사 범위의 기준이 됨. -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
IEEE에서 SW 분야의 지식을 정리한 체계인 SWEBOK에 정의되어 있는 요구사항 프로세스를 기반
도출, 분석, 명세, 확인의 과정을 거치는 요구사항 확인 과정
도출 -> 분석 -> 명세 -> 확인
요구사항 도출
: SW가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할지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
요구사항 정보 수집을 위한 활동 등을 총칭
요구사항 분석
: 요구사항들 간 상충되는 것들을 해결
SW의 범위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이해
요구사항 명세
: 체계적으로 검토, 평가, 승인 될 수 있는 문서 작성
시스템 정의, 요구사항,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작성
요구사항 확인
: 분석가가 요구사항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
요구사항 문서가 표준에 적합하고 이해 가능한지 확인
일관성과 완전성이 충족되는지 검증
요구사항 도출 필요성
- 범위 기준선 제공 / 일정, 원가 영향 / 추적성 제공
2. 요구사항 도출 기법
- 요구사항 도출 기법
: 핵심그룹 / 심층워크숍 / 인터뷰 / 집단창의력기법 / 설문지 및 설문조사 / 사용자업무관찰기법 / 프로토타입 / 집단의사결정기법 - 요구사항 분류에 따른 추출 방법
기능적 : 기능 / 자료 / 인터페이스 / 사용자
비기능적 : 자원 / 성능 / 보안 / 품질 - 요구사항 분석 필요성
: Snowball Effect 현상 방지, Gold plate 방지 등 명확한 요구사항을 통해 프로젝트 과제의 범위를 명확화 하기 위함
3. 요구사항 분석 기법
-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요구사항을 기술할 때는 요구사항의 확인, 요구사항 구현의 검증, 비용 추정 등을 확실히 해야함
분석 기법
: 요구사항 분류 / 개념 모델링 / 요구사항 할당 / 요구사항 협상 / 정형 분석
요구사항 분류 | 기능, 비기능, 요구사항 범위, SDLC 등 여러가지 기준을 가지고 분류 |
개념 모델링 | 실세계 문제에 대한 모델링이 SW 요구사항 분석의 핵심 |
요구사항 할당 |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아키텍처 구성 요소 식별 |
요구사항 협상 | 복수의 이해관계자가 서로 상충되는 내용을 요구거나, 요구사항과 리소스, 기능과 비기능 요구사항들이 서로 상충될 경우 진행되는 협의 |
정형 분석 | 정확하고 명확하게 표현 |
- UML (Unified Modeling Language)
시각적 모델을 만들기 위해 도안 표기법을 사용하고, 객체 관리를 위한 표준화 된 범용 모델링 언어
UML 특징
- 가시화 언어
: 개념 모델 작성 / 오류 없이 전달 / 의사소통 용이 / Graphic 언어
- 명세화 언어
: 정확한 모델 제시 / 완전한 모델 작성 / 분석, 설계의 결정 표현
- 구축 언어
: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와 연결 / 왕복 공학 가능 (순,역공학) / 실행 시스템 예측 가능
- 문서화 언어
: 시스템에 대한 통제, 평가, 의사소통의 문서
UML 4+1 View Model
- 고객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설계자, 시스템 통합자, 개발자, 시스템 엔지니어의 관점으로 SW Architecture을 구축하는 설계 방법
- 다양항 이해관계자들이 SW Architecture을 바라보는 Architecture View의 관점 간 관계를 정의한 사실상의 표준
- 기존 단순 View Model의 한계를 극복하고, 기능/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
Use-case View
: 사용자 관점,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시스템 기능 명세
Logical View
: 설계자 관점, 전체 레이어 구성
Implementation View
: 개발자 관점, 컴포넌트와 이들 간의 상호관계 정의
Process View
: 시스템 통합 관점, 비기능적 요구사항 기술
Deployment View
: 시스템 엔지니어 관점, 물리적 노트 프로세스 분산 및 배치 - SRS
요구분석 단계의 요구사항과 스펙을 정리한 산출물, SW 요구사항 명세 문서
개발 목적, 다양한 계층 사용, 여러 개발 산물 문서의 출발점
SRS 목차
: 개요 / 전체 설명 / 환경 / 외부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/ 성능 요구사항 / 비기능 요구사항 / 기능 요구사항 - 요구사항 명세
시스템의 목표를 기술하고, 사용자가 기대하는 기능 요구사항 및 품질 특성을 작성하는 단계
평가 기준
: 정확성 / 명확성 / 완전성 / 일관성 / 중요성 / 검토가능 / 수정가능 / 추적가능
명세서 작성 시 유의사항
: 이해성 / 상호성 / 기능 정의 / 제약 조건 / 테스트 기준 / 품질 측정 - 요구사항 확인(검증)
개발 단계에서 요구 변경을 최소화 하고, 최초 정의된 요구사항에 맞게 구현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
확인 기법
: 요구사항 검토 / 프로토타이핑 / 모델 검증 / 인수 테스트 - 프로젝트 수행 시 요구사항 보장을 위한 방안
상세 요구사항 -> 요구분석 -> 분할 발주 -> 보증 활동 -> 감리 시행 -> 요구 사항 보장
품질보증활동에서 요구 검증
프로세스 : 품질보증계획, 엔지니어링 활동 검토, 품질 측정 평가, 문서화, 승인, 보고통보
품질활동 : 형상관리, 문서관리, 품질 기록, 합동 검토, 위험 관리
4.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
-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 과정
성능 및 용량산정 적정성 ->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-> IT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-> 기술적 위험 분석
성능 및 용량산정 적정성
: 성능 관련 비기능 요구사항과 비교하여 적정성 여부 판단
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
: 복수의 이종 간 시스템 사이의 정보 및 서비스 교환 등 시스템 능력
IT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
: 유지보수 관점에서 시스템의 시장성과 향후 발전 가능성 확인
기술적 위험 분석
: 복잡성, 검증 여부, 의존성 등에 대하여 위험 발생 가능성 및 영향도 파악
출처 : 이기적 정보처리기사 실기 핵심이론 1권
'■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> 1. 정보처리 실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) 2-02. 물리 데이터 설계 (0) | 2020.11.01 |
---|---|
(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) 2-01. 논리 데이터 모델 설계 (0) | 2020.10.26 |
(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) 1-03. 분석모델 확인하기 (0) | 2020.10.26 |
(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) 1-01. 현행 시스템 분석 (0) | 2020.10.25 |
Comments